올드보이 Old Boy
감독 : 박찬욱
주연 : 최민식, 유지태, 강혜정, 지대한, 오달수
장르 : 드라마, 느와르
등급 : 18세 이상
상영시간 : 120분
제작년도 : 2003
개봉일 : 2003년 11월 21일
국가 : 한국
공식홈페이지 : www.oldboy2003.co.kr
시놉시스
“내 이름이요, 오늘만 대충 수습하며 산다해서 오.대.수라구요”
술 좋아하고 떠들기 좋아하는 오.대.수. 본인의 이름풀이를 ‘오늘만 대충 수습하며 살자’라고 이죽거리는 이 남자는 아내와 어린 딸아이를 가진 지극히 평범한 샐러리맨이다. 어느 날, 술이 거나하게 취해 집에 돌아가는 길에 존재를 알 수 없는 누군가에게 납치, 사설 감금방에 갇히게 되는데...
“ 그 때 그들이 ‘십오년’이라고 말해 줬다면 조금이라도 견디기 쉬었을까?”
언뜻 보면 싸구려 호텔방을 연상케 하는 감금방. 중국집 군만두만을 먹으며 8평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텔레비전 보는 게 전부. 그렇게 1년이 지났을 무렵, 뉴스를 통해 나오는 아내의 살해소식. 게다가 아내의 살인범으로 자신이 지목되고 있음을 알게 된 오대수는 자살을 감행하지만 죽는 것조차 그에겐 용납 되지 않는다. 오대수는 복수를 위해 체력단련을 비롯, 자신을 가둘만한 사람들, 사건들을 모조리 기억 속에서 꺼내 ‘악행의 자서전’을 기록한다. 한편, 탈출을 위해 감금방 한쪽 구석을 쇠젓가락으로 파기도 하는데.. 감금 15년을 맞이하는 해, 마침내 사람 몸 하나 빠져나갈 만큼의 탈출구가 생겼을 때, 어이없게도 15년 전 납치됐던 바로 그 장소로 풀려나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내가 누군지, 왜 가뒀는지 밝혀내면…내가 죽어줄께요”
우연히 들른 일식집에서 갑자기 정신을 잃어버린 오대수는 보조 요리사 미도 집으로 가게 되고, 미도는 오대수에게 연민에서 시작한 사랑의 감정을 키워나가게 된다. 한편 감금방에서 먹던 군만두에서 나온 ‘청룡’이란 전표 하나로 찾아낸 7.5층 감금방의 정체를 찾아내고... 마침내, 첫 대면을 하는 날 복수심으로 들끓는 대수에게 우진은 너무나 냉정하게 게임을 제안한다. 자신이 가둔 이유를 5일 안에 밝혀내면 스스로 죽어주겠다는 것. 대수는 이 지독한 비밀을 풀기 위해, 사랑하는 연인, 미도를 잃지 않기 위해 5일간의 긴박한 수수께끼를 풀어나가야 한다. 도대체 이우진은 누구이며? 이우진이 오대수를 15년 동안이나 감금한 이유는 뭘까? 밝혀진 비밀 앞에 두 남자의 운명은 과연 어떻게 되는 것일까?
------------------------------------------------------------------------------------
뭐 이런 저런 말들... 좋은 말들이 많길래 한번 보자 싶어서 예매한 영화...
엽기적인 영상들과 스토리... 뛰어난 연기력의 두 배우...
박찬욱 필름이라는 글귀를 보는 순간 '어디서 마니 본 듯 한데...'라는
생각을 했었다...
영화를 보면서 깨달았다... '복수는 나의 것' 감독이라는 것을...
스토리도 그렇고 영상도 그렇고 조금은 충격적인 영상들과 스토리
그리고 복수라는 주제... 훗...
원작이 만화라고 들은 것 같은데 그 만화를 한번 보고싶어지는군...
15년이란 시간동안 이유를 모른체 갇쳐 지내다가 갑자기 감옥은 아닌 감옥에서
나온 오대수... 누가, 왜라는 의문을 풀어야만 하는 게임(?)
결국은 복수를 위한 것이였음을 알게되는데.. 그 복수라는 것이 단순히
가두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부녀지간을 사랑으로 이어가는...
훗... 평범한 생각과 영화는 아니지...
어찌보면 별 것 아닌... 그저 오대수라는 인물은 우연히 목격한 것을
친한 친구에게 이야기 한 것 뿐인데...
그로 인해 벌어진 일은 여자의 상상임신과 죽음...
그로 인한 그 동생의 복수...
별것 아닌 일로 시작된 것 치고는 스토리 전개와 결말이 너무나도
센세이션 한거 아닌가... 훗...
영화속에서 유지태의 대사처럼 '모래알이 물에 가라앉는 것이나
바위돌이 물에 가라앉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이 비슷한 -_-
대사... 그런 것인가... 훗...
살살 약올리는 듯한 유지태의 그 대사톤과 대사 그리고 표정들...
또한 최민식의 연기... 좋은 배우라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다...
그리 재밌다거나 무엇인가가 확 와닿는다거나 아니면 미치도록 슬프다거나
그런 것은 느끼지 못했다...
다만 보면서 영화 괜찮다라는 생각만이 들었을뿐... 훗...
재밌는 것도 아니고 와닿는것도 아니고 슬픈것도 아니고
그런데 왜 괜찮냐고 한다면은 봐야만 알 수 있을 것 같다는 말밖에
할 말이 없을 것 같군...
이런 저런 평가들을 상관말고 그냥 아무생각없이 한번 가서 볼만은 한 영화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