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도산 力道山
감독 : 송해성
주연 : 설경구, 후지 타츠야, 나카타니 미키, 하기와라 마사토, 후나키 마사카츠
장르 : 액션, 드라마, 로맨스
등급 : 12세 이상
상영시간 : 137분
제작년도 : 2004
개봉일 : 2004년 12월 15일
국가 : 한국
공식홈페이지 : www.rikidozan.co.kr
태그라인
잊혀진 섬, 잊혀진 형제… 이번엔 잊혀진 영웅이다!
시놉시스
1963년 12월 8일 자정 일본 동경의 거리.
거센 빗길을 다급하게 달리는 차 안에는 일본 최고의 프로레슬러 역도산이 거친 숨을 내쉬고 있다.
시뻘건 피로 점점 물들어가는 하얀 와이셔츠, 배를 움켜쥔 역도산의 손위로 피가 새어 나온다.
10분전, 클럽에서 술을 마시던 역도산은 누군가의 칼을 맞았다.
세상을 다 가졌지만, 웃지 못했던 사나이 역도산
1950년 9월. 일본 대 스모협회에서는 거구의 스모 선수들과 임원들이 단 한명의 남자에게 쫓겨 다니고 있다. 의자를 휘두르며 덤벼드는 상투머리의 사내는 현재 스모 랭킹 3위 역도산이다. 순수 일본인이 아니면 스모 최고가 될 수 없다는 말에 난동을 부리는 중이다. 그는 이방인이다.
결국 역도산은 지금까지의 모든 것이었던 스모를 포기하며 상투를 자르고, 스모 밖엔 할게 없었던 역도산은 술과 싸움으로 나날을 보낸다. 그러던 어느날, 어김없이 술에 취해 난동을 피우고 있는 역도산은 운명처럼 ‘레슬링’을 만난다. 미국에서 온 프로레슬러에게 기습 제압 당한 역도산은 아픔이나 패배감보다 이 새로운 세계에 정신이 번쩍 드는 것을 느낀다. 그리고 바다 건너엔 ‘세계의 스포츠’ 프로레슬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역도산은 십년 전 현해탄을 건너 일본에 왔듯 이번에도 미련 없이 태평양을 건넌다.
2년 후, 미국에서 프로레슬러가 되어 금의환향한 역도산은 이제 일본에서 프로레슬링 사업을 시작한다. 생소한 스포츠에 흥행사들과 국민들도 반신반의하지만 역사적인 첫 경기가 열리던 날 상황은 역전된다. 2차 세계대전의 패배로 실의에 빠져있던 일본인들은 역도산이 링 위에서 미국 선수들을 때려눕히는 광경을 보면서 눈물을 흘린다. 치밀한 계산 하에 치뤄진 경기였지만 이로서 역도산은 일본의 국민적 영웅이 된다. 그러나 세상을 다 가졌다고 생각한 순간, 역도산의 삶은 점차 어긋나기 시작하는데…
-----------------------------------------------------------------------------------------
롯데시네마 9관
2004년 12월 16일 오후 7시
역도산이란 인물보다는 사실 설경구라는 인물때문에 보기로 한 영화...
영화에서 보여지는 설경구의 그 모습은 정말 경이로웠다..
어찌보면 작아보이기만 했던 그 체구가 그렇게 커졌다니...
출렁거리는 살들... -_-;; 엄청나 보이는 크기의 옷들...
역도산이라는 인물이 일본사람들에겐 영웅이라고 하는데
이 영화만 봐서는 그 사람이 그렇게 영웅 대접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보여주긴 하나 와닿지는 않았다....
스모 선수로... 요코즈나로 성공하기 위해서... 맘껏 웃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현해탄을 건너 10년간 고생을 했다고 하는
부분도 그냥 조선인이라서 선배들한테 매맞고 하는 장면들이였고...
레슬링 선수가 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간 후에도 레슬링 선수가
되기위해 노력한 모습은 보여주지 않고 그냥 신문지상에 나열되는
것들만 보여주고...
일본에 돌아와선 패전 이후 미국인들에 두려움만 남아있는
일본인들에게 희망을 주기위해 레슬링을 일본에서 시작하지만
돈으로 상대를 매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하긴 처음에도 그 회장이란 사람의 눈에 들기위해서 수를 쓰긴 했지만...
국민적 영웅이라기 보다는 자신의 목표를 위해 여러 수를 쓸 줄 아는
사람으로 보였다...
영화가 잘못 나타낸 것인지 내가 잘못 받아들인 것인지... -_-
영화를 보면서 한가지 동조할수 있었던 것은...
'조선이 나한테 해준게 뭐가 있는데'라는 것과
'조선인도 일본인도 아닌 세계인이다'라는 대사였다...
전체적으로 지루한 전개... 막상 보여줘야하지 않나라는 것은 빠지고
필요없지 않나라고 하는 부분은 보여주고...
설경구라는 배우만 빼면 일본 영화라고 해도 뭐 -_- 할말 없을듯...
내가 세계인이 되지 못한 탓인지 일본 만세를 외치고
계속해서 보여지는 일장기들은 좀 거북스러웠다...
내가 무엇을 기대했는지는 대략 알듯하다...
아직까지 일본인의 80%이상의 사람은 역도산이란 사람이
일본인이라고 생각하고 그를 영웅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 여기서 우리란 한국사람들이지...
우리는 그가 한국인이란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바로 그것을 노린것이겠지...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사람 그리고 영웅인 그 사람이 한국인이라는 점..
그런 점들을 그가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그런 모습을 기대했겠지...
그래서 좀 아쉬움도 있는 것 같다...
하지만 그것을 뺀다 치더라도 이 영화는 지루했다... 많이...
영화가 사실 전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리고 그렇지도 않겠지만
왠지 이영화는 아니였으면 싶달까...
그냥 정말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이였는지 알고싶어진다...
영화를 부정하고싶고... 훗...